google-site-verification=iixoV-iPfBmbN_oxYuxvD7HcYekPvepr7NGyhzMlS5k 빙 (Bing)과 챗GPT (ChatGPT)의 차이점
본문 바로가기
문명의 중심에서 관심사를 외치다

빙 (Bing)과 챗GPT (ChatGPT)의 차이점

by 야미나미레오 2023. 3. 5.
반응형

ChatGPT 자체가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상당한 투자를 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지금 무척 떠들썩한 이슈로는 바로 이 마이크로소프트가 ChatGPT의 단점을 보완할 새로운 인공지능을 만들었고, 그 놀라운 기술을 검색 사이트 "빙"에 접목시켰다는 것이다. 

 

 

ChatGPT VS 빙 썸네일
ChatGPT VS 빙 썸네일

 

<ChatGPT>


▶ 마이크로 소프트의 투자를 받아 제작
▶ 2021년 까지의 데이타만 기록되어 있음
▶ 웹사이트의 Search 창과 연동이 안됨
▶ 거짓말이 심하다

<빙 - 프로메테우스>


▶ ChatGPT의 단점을 보완
▶ "빙" 이라는 search 콘솔에 접목
▶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한 셋팅

 

 

1. 빙이란?

 

요즘 엄청난 주목을 받고 있는 빙(Bing)은 그 놀라운 성능으로 "병신"이라고 까지 불리고 있다. 빙이라는 애초에 존재하고 있었던 네이버나 구글 같은 포털 사이트이자 서치 콘솔이었다. 이전까지는 그렇게 주목을 받지 못하고 유저의 숫자도 별로 없었지만 최근 ChatGPT를 능가하는 성능의 인공지능과 결합되며 전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ChatGPT의 성공적인 론칭도 이유가 되겠지만, 그 ChatGPT의 개발 투자자가 바로 마이크로 소프트였으며, 이 빙에 결합된 인공지능은 투자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프로메테우스"라는 인공지능을 탑재했다는 점도 큰 영향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2. ChatGPT와의 차이점

 

위 문구에 차이점을 간단하게 나열했지만, 핵심적인 차이점이라면 바로 인공지능이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겠다. ChatGPT 같은 경우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두 가지 존재한다.

 

* ChatGPT의 단점

 

  • 어떻게 해서든 대답을 하려 한다.
  • 데이터가 2021년까지 밖에 업데이트되지 않았다.

 

이 가지 단점에서 ChatGPT의 경우 황당한 답변을 내놓기도 한다. 예를 들면 2023년에 태어난 인물등에 대해서 물어본다면 데이터가 없다고 하면 될 것을 무조건 답변을 이어가기 위해 말도 안 되는 캐릭터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속된 말로 구라가 심해진다.

 

이렇게 제작된 이유에는 바로 정보를 답변해 주는 시스템에 핵심이 있다. 

 

이 ChatGPT의 경우는 입력된 정보들을 토대로 그 정보 안에서 검색을 한 후 답변을 내놓는 시스템이다. 물론 이 답변 안에서도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굉장히 뛰어나다는 점은 우리를 놀라게 하기에 충분했다. 시를 적는다던가 가사를 쓰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인간이 실수 한 부분들의 코딩을 수정해 주는 등은 정말로 소름 끼치는 기술의 발전이다. 

 

 

그렇다면 "빙"에 탑재된 "프로메테우스"는 어떠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공지능 프로메테우스는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을 내놓지 않는다. 인공지능 스스로가 답변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전부 검색하는 방식이다. 이 이야기만으로 ChatGPT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두 가지 장점을 만들어내 버린다. 

 

먼저, 무한에 가까운 인터넷 바다에서 올라오는 모든 정보들을 인공지능이 거의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렇게 검색된 정보를 관련도에 맞게 정확한 내용으로 만들어 답변을 해 준다는 것이다. 이것은 그 방대한 데이터를 다 담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량문제에서도 꽤 자유롭다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서버 값이 많이 줄어들 것이라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또 하나의 장점은, 매년, 매 순간 업그레이드 되는 정보들을 일일이 전부 입력해 줄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쉽게 얘기하면 검색을 엄청 많이 하고 빠르게 하면서 정확도가 높은 정보들을 추려낼 수 있는 인간인 셈이다. 이런 두 가지의 차이점이라면 차이점인 장점을 갖고 개발된 "프로메테우스"가 "빙"이라는 서치 콘솔과 결합되며, 빙에서 검색을 한다면 당장 이 AI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3. 빙의 앞으로 전망

 

알려진 대로라면 빙은 거의 현존하는 최고의 서치 콘솔이자 플랫폼이 될 가능성이 많다. 하지만 언제나 변수가 존재하듯이, 여러 가지 우려할 만한 상황도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서 직접 검색한다는 그 시스템에서 문제인데, 이 인터넷이란 공간은 양질의 정보도 있지만, 거짓된 정보들이나 악의적으로 편집된 정보들도 상당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거짓말을 하게 되는 AI라는 점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있을 것이다. 

 

 

 

chatgpt 관련 책 사진 링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